워드프레스 백업과 복구가 필요하신가요?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운영하면서 데이터 손실이나 사이트 오류는 언제든지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도 지금까지 2~3번 정도 복구를 했는데요, 이러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정기적인 백업과 신속한 복구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플러그인, 웹 호스팅 서비스, 수동 방법 등 다양한 백업과 복구 방법, 그리고 복구 후 점검사항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워드프레스 백업 복구
블로그내 모든 내용은 항상 최신의 유효정보로 업데이트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만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반드시 최종 확인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워드프레스 백업 방법

1. 플러그인을 이용한 백업

워드프레스 백업을 위해서는 다양한 백업 플러그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워드프레스 백업 플러그인으로는 UpdraftPlus, BackWPup, Duplicator 등이 있습니다. 이들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손쉽게 백업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UpdraftPlus로 예를 들면 워드프레스 관리자 대시보드에서 “플러그인” > “새로 추가”를 클릭하고 “UpdraftPlus”를 검색하여 설치 및 활성화합니다. “설정” > “UpdraftPlus 백업”으로 이동합니다. “지금 백업” 버튼을 클릭하여 즉시 백업을 시작하거나, “설정” 탭에서 자동 백업 일정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저장 위치 설정을 위해 Dropbox, Google Drive, Amazon S3 등 외부 저장소와 연동하여 백업 파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습니다.

2. 웹 호스팅 제공업체의 백업 서비스 이용

워드프레스 백업을 해야 할 때 웹호스팅 업체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가장 쉽고 간편합니다. 저와 같은 초보자는 이 방법으로 할 수 밖에 없을 것 같은데요. 일부 웹 호스팅 제공업체는 자동 백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케미클라우드, 클라우드웨이즈 등의 호스팅 서비스에서는 주기적으로 사이트 백업을 수행하며, 필요 시 복원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호스팅 업체의 대시보드에서 백업 설정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지원팀에 문의하여 백업 서비스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3. 수동 백업

수동으로 워드프레스 백업을 수행하려면 FTP 클라이언트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도구(예: phpMyAdmin)를 사용합니다.
파일 백업: FileZilla와 같은 FTP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서버에 접속하고 워드프레스 설치 디렉토리(예: public_html)를 로컬 컴퓨터에 다운로드합니다.
데이터베이스 백업: 웹 호스팅 제공업체의 cPanel 또는 직접 phpMyAdmin에 접속하고 워드프레스가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합니다. “내보내기” 탭을 클릭하고 “빠른” 또는 “사용자 정의” 옵션을 선택하여 데이터베이스를 백업합니다.

워드프레스 복구 방법

1. 플러그인을 이용한 복구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워드프레스 백업한 경우, 동일한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복구할 수 있습니다. UpdraftPlus를 예로 들면 “UpdraftPlus” 플러그인을 설치하고 활성화합니다. “설정” > “UpdraftPlus 백업”으로 이동하여 “백업/복원” 탭에서 백업 파일을 업로드합니다. 업로드한 백업 파일을 선택하고 “복원” 버튼을 클릭하여 복원을 진행합니다.

2. 웹 호스팅 제공업체의 복구 서비스 이용

호스팅 제공업체의 백업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호스팅 대시보드에서 복구 옵션을 선택하거나 지원팀에 요청하여 복원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3. 수동 복구

수동으로 백업한 파일과 데이터베이스를 복구하려면 FTP 클라이언트와 phpMyAdmin을 사용합니다.
파일 복구: FileZilla와 같은 FTP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서버에 접속합니다. 로컬 컴퓨터에 저장된 워드프레스 설치 디렉토리를 서버에 업로드합니다.
데이터베이스 복구: 웹 호스팅 제공업체의 cPanel 또는 직접 phpMyAdmin에 접속하고 워드프레스가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합니다. “가져오기” 탭을 클릭하고 백업한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업로드하여 복구합니다.

워드프레스 복구 후 사이트 점검 체크사항 7가지

1) 웹사이트 전체 점검
홈페이지 및 주요 페이지 (예: 서비스 페이지, 블로그, 연락처 페이지 등)가 정상적으로 로드되는지 확인합니다. 페이지가 빠르게 로드되며, 레이아웃이 깨지지 않았는지 점검합니다. 모든 내부 링크와 외부 링크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고 네비게이션 메뉴가 올바르게 표시되고, 링크가 제대로 연결되는지 점검합니다.

2) 기능 및 플러그인 점검
모든 플러그인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특히 캐시 플러그인, SEO 플러그인, 보안 플러그인 등의 주요 플러그인이 제대로 설정되고 작동하는지 점검합니다. 현재 사용 중인 테마가 올바르게 적용되는지 확인하고 테마 커스터마이징 (CSS, HTML, PHP 코드) 부분이 제대로 반영되어 작동하는지 점검합니다.

3) 콘텐츠 점검
모든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파일이 제대로 로드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미디어 라이브러리에 모든 파일이 정상적으로 존재하는지 점검합니다. 블로그 포스트, 페이지 콘텐츠가 제대로 표시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등이 원래대로 표시되는지 점검합니다.

4) 데이터베이스 확인
복구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고 완전한지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이 손상되지 않았는지 점검합니다. 새로운 포스트나 페이지를 추가하여 데이터베이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댓글 작성, 폼 제출 등 기본적인 데이터 입력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 점검합니다.

5) 사용자 기능 점검
회원 가입 및 로그인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고 사용자 계정 생성, 비밀번호 재설정 등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 점검합니다. 제품 페이지, 카트, 체크아웃 과정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고 결제 게이트웨이가 제대로 설정되어 있으며, 테스트 결제가 가능한지 점검합니다.

6) 사이트 보안 점검
SSL 인증서가 올바르게 설치되고, 모든 페이지가 HTTPS로 로드되는지 확인합니다. 보안 플러그인 (예: Wordfence, Sucuri)이 제대로 설정되고 작동하는지 점검하고 사이트에 악성 코드나 보안 취약점이 없는지 스캔합니다.

7) 사이트 속도 및 성능 점검
GTmetrix, Google PageSpeed Insights 등을 사용하여 페이지 로드 속도를 확인하고 복구 후 페이지 로드 속도가 현저히 느려지지 않았는지 점검합니다. 캐싱 플러그인 (예: WP Super Cache, W3 Total Cache)의 설정이 올바른지 확인한 후 캐시를 비우고 다시 생성하여 성능을 최적화합니다.

워드프레스 사이트의 백업과 복구는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고, 사이트 운영의 안정성을 높이는 중요한 작업입니다. 문제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평소에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겠네요. 워드프레스 초보자라면 플러그인을 활용하거나 웹호스팅 제공업체의 백업 및 복구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간편하고 안전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이트 운영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워드프레스와 네이버블로그나 티스토리의 차이점이 궁금하신 분은 여기로 이동해주세요.

관련 글 보기